도금·금속분무기조작원
도장원 및 도금원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부식과 마모에 저항성을 높이고 장식목적 또는 전기, 자기적 특성을 고르게 하기 위하여 금속제품 또는 부품을 도금하는 기기를 조작한다.
도금 및 금속분무기조작원이 되기 위해서는 특별한 자격이나 학력은 필요하지 않다.하지만, 일반적으로 직업훈련기관에서 단기 직업훈련과정으로 전기도금, 자동차도장, 금속도장, 건축도장 등을 익혀두면 취업하기에 유리하다.고급 기술을 익히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의 표면처리과 또는 대학의 금속재료학과 등에 진학할 수 있다.
- 직무 관련 역량
- 표면처리기능사, 산업기사, 기능장, 기술사(국가기술)
- 일자리현황
- 도금 (표면처리) 생산직 모집
주식회사 신용금속
주5일근무 정규직
시급 10,030원
도금직부영금속
주5일근무 정규직
시급 10,030원
스테인레스 전해연마 작업자 모집세영화학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50만원 ~
녹산공단 전기아연도금업체 생산직 모집호성도금
주5일근무 정규직
시급 10,030원
아노다이징·표면처리·금속·도금 현장직 모집영광금속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09만원 ~
알루미늄 도금(크로메이트) 경력자 모집신원금속
주5일근무 정규직
시급 12,500원 ~
도금 제조원 모집(주)성원메탈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50만원 ~
사상공단내 도금업체 도금 생산 직원 모집밀성공업
주6일근무 정규직
월급 260만원
생산직 사원 모집선일금속
주5일근무 기간제
월급 210만원 ~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도금 및 금속분무기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도장 및 도금 분야는 열악한 작업환경 및 환경오염 산업이라는 인식 때문에 기술인력 유입이 감소하고 있어 기술 공동화가 우려되는 분야 중의 하나로서 선진국의 비약적인 도장 및 도금기술 발전과 중국 등의 후발 개발도상국의 추격으로 성장 한계에 직면한 것이 현실이다.인건비 등을 이유로 중국 등에서 현지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생산설비의 자동화로 국내에서의 고용 감소가 불가피해진 것이 현실이다.한편, 표면처리, 특히 도금기술은 우리나라 전방산업과의 연계성이 매우 높은 생산기반 기술 산업으로 기능성 제품 및 표면처리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기 때문에 복합·기능성 표면처리 기술을 도입한 아연도금과 같은 특수도금처리 산업은 향후에도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한편, 청년층의 진입 기피와 숙련공 양성체계의 부재에 따른 인력의 공급부족으로 일자리 경쟁률은 낮을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국내 인력이 공급되지 않아 외국인 인력으로 충당하고 있는 실정이다.선박 및 자동차 분야와 같이 산업 수요가 높은 분야의 도장 및 도금 제조업에 종사하는 인력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 영역에서 도금 및 금속분무기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