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능사
comment
주로 각종 승강기 보수용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건축물 또는 기타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덤웨이터, 수평보행기 등의 승강기를 검사, 점검 및 보수하고 시운전하는 업무 수행.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주차용 기계장치 등 승강기는 일단 설치가 끝나면, 좋은 작 동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점검 및 보수작업을 해야한다.이러한 작업을 위해서 는 기계, 전자, 전기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능을 필요로 한다.이에 따라 산업현 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인력의 양성을 통해 승강기 이용시 안전을 도모하고자 자격제 도 제정.
- 수행직무
주로 각종 승강기 보수용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건축물 또는 기타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덤웨이터, 수평보행기 등의 승강기를 검사, 점검 및 보수하고 시운전하는 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승강기 또는 승강기부품 제조업체 및 수입업체, 승강기보수·유지·점검 업체, 건물의 승강기 관리직, 승강기 부품 판매업체, 일반 건물의 전기실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지정검사기관의 검사자, 「승강기제조및관리에관한법률」 에 의한 승강기보수업의 기술인력으로 고용될 수 있다.- 승강기기능인력에 대한 수요는 주로 신축건물의 증감에 영향을 받게 되지만, 기존에 설치된 승강기도 항상 좋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점검과 정비를 해야 하므로 수요는 꾸준히 존재한다.최근 건설경기가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더 많은 건 축물들이 신축될 것으로 보여 승강기 설치분야 인력증가가 예상된다.동시에 일반인 들의 승강기 안전에 대한 인식고조로 검사 및 정비, 점검분야의 수요도 지속될 예정 이다.반면 승강기기술의 발전에 따른 공간활용이나 에너지 절감을 고려한 최첨단 승 강기가 개발되고 있어 건물승강기 관리분야의 기능인력수요는 크지 않을 전망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공업계 고등학교의 기계, 전기 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현재 직업훈련 기관에서 승강기 보수 직종에 관한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훈련원은 없으며, 한국 승강기 안전센터에서 승강기 자체검사원 직무교육과 신규교육과정을 산업안전보건법 및 동법 시행규칙에 따라 법정교육을 실시하고 있음④ 시험과목- 필기 : 1.승강기개론 2.안전관리 3.승강기보수 4.기계,전기기초이론- 실기 : 승강기점검 및 보수작업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 (60분)- 실기 : 작업형 (3시간 30분 정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승강기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5,987명
- 필기응시
- 14,112명
- 필기합격
- 5,068명
- 합격률
- 35.9%
- 실기접수
- 6,196명
- 실기응시
- 5,919명
- 실기합격
- 4,726명
- 합격률
- 79.8%
2023년 승강기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4,999명
- 필기응시
- 13,009명
- 필기합격
- 5,202명
- 합격률
- 40.0%
- 실기접수
- 6,219명
- 실기응시
- 5,934명
- 실기합격
- 4,640명
- 합격률
- 78.2%
2022년 승강기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2,563명
- 필기응시
- 10,786명
- 필기합격
- 4,453명
- 합격률
- 41.3%
- 실기접수
- 5,913명
- 실기응시
- 5,629명
- 실기합격
- 4,381명
- 합격률
- 77.8%
2021년 승강기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6,012명
- 필기응시
- 14,169명
- 필기합격
- 6,615명
- 합격률
- 46.7%
- 실기접수
- 8,027명
- 실기응시
- 7,659명
- 실기합격
- 6,083명
- 합격률
- 79.4%
2020년 승강기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2,756명
- 필기응시
- 11,087명
- 필기합격
- 5,720명
- 합격률
- 51.6%
- 실기접수
- 7,612명
- 실기응시
- 7,205명
- 실기합격
- 5,307명
- 합격률
- 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