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환경.에너지 | 기능사
comment
생활하수나 공자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을 정화하고 중성화하여 처리하기 위한 열교환 기, 펌프, 압축기, 소각로 및 관련장비를 조작하는 직무 수행.
인구의 증가와 도시화, 경제규모의 확대와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따른 오염물질의 대량 배출 및 다양화는 자연환경오염을 날로 심화시켜 개인위행 및 자연환경을 위협하고 있 다.이에 따라 보건과 환경을 위협하는 제요인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여 숙련 기능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게 됨.
- 수행직무
생활하수나 공자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을 정화하고 중성화하여 처리하기 위한 열교환 기, 펌프, 압축기, 소각로 및 관련장비를 조작하는 직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분뇨종말처리장, 하수처리장 및 오물의 수거·운반 등 전문용역업체와 환경오염 방지 기기 제작·설치 및 시공업체, 화공, 제약, 도금, 염색식품 및 제지업체 등 각종 공 장의 폐수처리 및 환경관리 부서에 진출할 수 있다.-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생물공학적 기법을 적용한 폐하수처리기술, 폐 기물의 무공해처리기술 등이 개발될 전망이며 환경오염의 감시, 오염된 하수처리 시 설의 철저한 관리 및 운영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환경오염방지 분야의 기능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화학과 및 화공과 (환경과)③ 시험과목- 필기 : 1.대기오염방지 2.폐수처리 3.폐기물처리 4.소음,진동방지- 실기 : 환경오염공정 시험방법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2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득점자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환경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0,447명
- 필기응시
- 7,547명
- 필기합격
- 2,912명
- 합격률
- 38.6%
- 실기접수
- 3,702명
- 실기응시
- 3,365명
- 실기합격
- 2,868명
- 합격률
- 85.2%
2023년 환경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0,864명
- 필기응시
- 7,701명
- 필기합격
- 2,995명
- 합격률
- 38.9%
- 실기접수
- 3,785명
- 실기응시
- 3,454명
- 실기합격
- 2,928명
- 합격률
- 84.8%
2022년 환경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9,167명
- 필기응시
- 6,466명
- 필기합격
- 2,599명
- 합격률
- 40.2%
- 실기접수
- 3,329명
- 실기응시
- 2,997명
- 실기합격
- 2,599명
- 합격률
- 86.7%
2021년 환경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9,492명
- 필기응시
- 7,047명
- 필기합격
- 3,013명
- 합격률
- 42.8%
- 실기접수
- 3,872명
- 실기응시
- 3,525명
- 실기합격
- 3,021명
- 합격률
- 85.7%
2020년 환경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7,910명
- 필기응시
- 5,758명
- 필기합격
- 2,695명
- 합격률
- 46.8%
- 실기접수
- 3,395명
- 실기응시
- 3,122명
- 실기합격
- 2,715명
- 합격률
- 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