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도자공예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인쇄.목재.가구.공예 | 기능사

comment

도자기 재료가 되는 고령토, 점토, 장석 및 기타 화공약품을 각종 분쇄기로 분쇄, 혼합, 미분쇄하여 소지토와 유약을 제조하고 각종 성형기계, 기구 및 석고형을 이용하여 소지토를 원하는 기물로 성형하고 건조, 시유, 장식한 후 가마에서 고온으로 소성시켜 식기류, 타일, 애자 및 위생도기를 만드는 직무 수행.

도자기공예는 국가간에 상호 문화교류를 유도하는 특수산업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예로 부터 빼어난 문화유산가운데 하나로 꼽힌다.전통도자기의 아름다움을 이어받아 도자기 공예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도자기공예에 대한 기초이론지식과 함께 숙련기능을 소지한 인력의 육성이 필요하게 되어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도자기 재료가 되는 고령토, 점토, 장석 및 기타 화공약품을 각종 분쇄기로 분쇄, 혼합, 미분쇄하여 소지토와 유약을 제조하고 각종 성형기계, 기구 및 석고형을 이용하여 소지토를 원하는 기물로 성형하고 건조, 시유, 장식한 후 가마에서 고온으로 소성시켜 식기류, 타일, 애자 및 위생도기를 만드는 직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가정용도자기제조업체, 건축용위생도기생산업체, 토기제품제조업체, 애자·애관등 전 기절연부품을 생산하는 업체 등에 진출하거나 도예공방을 직접 운영할 수 있다.- 지역토산품, 전통공예품을 비롯해 실용적인 도자기 공예품의 수요는 국제회의 및 대규모스포츠대회 개최, 해외관광객의 증가 등으로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공예품에 대한 숙련기능을 소지한 인력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그러나 규모가 큰 업체의 경우 현직 종사자의 낮은 이직률과 경기침체로 인한 경영악화로 신규고용수준은 낮을 전망이다.일시적으로는 해당사업체에서 수시로 모집하는 견습 원으로 입사해서 현장경험을 통해 기능을 습득하는 경우가 많고 자격증 취득과 관련 해 별도의 수당을 지급하는 곳이 있어 종사자들중에 자격증을 취득하는 사람들도 많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도자기공예과, 도예과, 세라믹아트디자인과 등 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④ 시험과목- 필기 : 1.공예디자인 2.도자기재료 3.도자기공예- 실기 : 도자기공예작업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 (총60분)- 실기 : 작업형(2일 정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도자공예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735명
필기응시
661명
필기합격
393명
합격률
59.5%
실기접수
540명
실기응시
512명
실기합격
453명
합격률
88.5%
2023년 도자공예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782명
필기응시
685명
필기합격
430명
합격률
62.8%
실기접수
538명
실기응시
506명
실기합격
440명
합격률
87.0%
2022년 도자공예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490명
필기응시
441명
필기합격
270명
합격률
61.2%
실기접수
431명
실기응시
397명
실기합격
344명
합격률
86.6%
2021년 도자공예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570명
필기응시
527명
필기합격
360명
합격률
68.3%
실기접수
529명
실기응시
498명
실기합격
429명
합격률
86.1%
2020년 도자공예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354명
필기응시
317명
필기합격
215명
합격률
67.8%
실기접수
404명
실기응시
387명
실기합격
309명
합격률
7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