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불도저운전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능사

comment

토목공사, 건축공사, 농지정리, 채광, 채석, 벌목, 재설 등의 작업을 위해 암석이나 토 사, 눈 등을 운반, 절토, 성토, 분배, 정리하는 불도저를 운전하고 일상점검과 예방정 비 등의 업무 수행.

불도우저는 주로 도로, 댐, 간척, 항만 등의 대형 토목공사현장에서 주로 쓰이며, 채 석, 주택, 농지정리, 제설 등에도 활용된다.이런 토목공사용 건설기계는 운전하는 데 특수한 기술을 요할 뿐 아니라 안전운행과 기계의 수명연장, 작업능률 제고 등을 위 해 숙련기능인력의 양성이 요구되었음.

수행직무

토목공사, 건축공사, 농지정리, 채광, 채석, 벌목, 재설 등의 작업을 위해 암석이나 토 사, 눈 등을 운반, 절토, 성토, 분배, 정리하는 불도저를 운전하고 일상점검과 예방정 비 등의 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주로 건설업체, 건설기계 대여업체 등으로 진출하며, 이외에도 광산, 항만, 시·도 건 설사업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불도우저 등의 굴차, 성토, 정지용 설기계는 건설 및 광산현장에서 주로 활용된다.국내 건설부문은 최근 IMF 관리체제 편입 이후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또한 다른 부 문에 비해 경기회복도 더딘 편이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규모 정부정책사업 (고속철도, 신공항건설 등)의 활성화와 민간부문의 주택건설증가, 경제발전에 따른 건설촉진 등에 의하여 꾸준히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그렇지만 불도우저의 경우 매년 등록기계 수에 있어서 1990년대 초반 이후 더이상 증가하지 않은 반면, 면허취 득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어 취업시 어려움이 예상된다 (참고로 불도우저 등록대수를 보면 1993년 6,000대, 1994년 5,541대, 1995년 5,289대, 1996년 5,319대, 1997년 5,457대, 1998년 5,308대임).가동률은 1999년 들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한국산업인력공단② 훈련기관 : 건설기계 관련 일반 사설학원③ 시험과목 - 필기1. 건설기계기관 2.전기 및 작업장치3. 유압일반4. 건설기계관리법규 및 도로통행방법5. 안전관리- 실기 : 불도저 운전 작업④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 (5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불도저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266명
필기응시
1,113명
필기합격
884명
합격률
79.4%
실기접수
1,267명
실기응시
1,069명
실기합격
293명
합격률
27.4%
2023년 불도저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506명
필기응시
1,330명
필기합격
1,096명
합격률
82.4%
실기접수
1,351명
실기응시
1,131명
실기합격
359명
합격률
31.7%
2022년 불도저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160명
필기응시
996명
필기합격
807명
합격률
81.0%
실기접수
1,106명
실기응시
908명
실기합격
301명
합격률
33.1%
2021년 불도저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043명
필기응시
915명
필기합격
750명
합격률
82.0%
실기접수
838명
실기응시
698명
실기합격
237명
합격률
34.0%
2020년 불도저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751명
필기응시
655명
필기합격
505명
합격률
77.1%
실기접수
721명
실기응시
624명
실기합격
198명
합격률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