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착기운전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능사
comment
건설현장에서 흙이나 자갈과 같은 물질을 굴삭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굴삭기를 운전 하며 장비의 일상점검과 예방정비를 하는 업무 수행.
굴삭기는 주로 도로, 주택, 댐, 간척, 항만, 농지정리, 준설 등의 각종 건설공사나 광산 작업 등에 쓰이며, 건설기계 중 가장 많이 활용된다.이러한 굴차, 성토, 정지용 건설 기계인 경우 운전하는데 특수한 기술을 요하며, 또한 안전운행과 기계수명 연장 및 작 업능률 제고 등을 위해 숙련기능인력 양성이 필요.
- 수행직무
건설현장에서 흙이나 자갈과 같은 물질을 굴삭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굴삭기를 운전 하며 장비의 일상점검과 예방정비를 하는 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주로 건설업체, 건설기계 대여업체 등으로 진출하며, 이외에도 광산, 항만, 시·도 건 설사업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굴삭기 등의 굴착, 성토, 정지용 건설기계는 건설 및 광산현장에서 주로 활용된다.최근 국내 건설부문은 IMF관리체제 편입 이후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경기회복도 다 른 부문에 비해 더딘 편이지만, 2000년대 들어서면서 대규모 정부정책사업(고속철 도, 신공항건설 등)의 활성화와 민간부문의 주택건설증가, 경제발전에 따른 건설촉 진 등에 힘입어 꾸준히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이에 따라 굴차, 성토, 정지용 건 설기계운전인력에 대한 고용증가가 기대된다.참고로 굴삭기등록현황을 보면 1990년 대에 들어서서 매년 지속적인 등록증가를 보이고 있다.(등록대수 1993년 53,441대, 1994년 55,752대, 1995년 60,168대, 1996년 67,847대, 1997년 76,965대, 1998년 78,094대임) 이는 매년 해당면허를 취득하는 인원에 비하면 적은 편이지만, 이와 더 불어 가동률이 상승하고 있어 고용은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훈련기관 : 건설기계 관련 일반 사설학원③ 시험과목 - 필기1. 건설기계기관2. 전기 및 작업장치3. 유압일반4. 건설기계관리법규 및 도로통행방법5. 안전관리- 실기 : 굴삭기운전작업 및 도로주행④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 (60분)- 실기 : 작업형(6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굴착기운전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48,627명
- 필기응시
- 41,582명
- 필기합격
- 32,396명
- 합격률
- 77.9%
- 실기접수
- 61,170명
- 실기응시
- 55,809명
- 실기합격
- 20,573명
- 합격률
- 36.9%
2023년 굴착기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53,655명
- 필기응시
- 45,165명
- 필기합격
- 37,347명
- 합격률
- 82.7%
- 실기접수
- 67,850명
- 실기응시
- 62,522명
- 실기합격
- 23,417명
- 합격률
- 37.5%
2022년 굴착기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55,104명
- 필기응시
- 45,589명
- 필기합격
- 36,899명
- 합격률
- 80.9%
- 실기접수
- 69,876명
- 실기응시
- 64,021명
- 실기합격
- 25,352명
- 합격률
- 39.6%
2021년 굴착기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68,955명
- 필기응시
- 57,225명
- 필기합격
- 38,759명
- 합격률
- 67.7%
- 실기접수
- 70,020명
- 실기응시
- 64,919명
- 실기합격
- 25,244명
- 합격률
- 38.9%
2020년 굴착기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53,854명
- 필기응시
- 44,614명
- 필기합격
- 28,990명
- 합격률
- 65.0%
- 실기접수
- 49,328명
- 실기응시
- 45,634명
- 실기합격
- 18,557명
- 합격률
-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