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질재료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농림어업 | 기능사
comment
합판제조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원묵을 절단. 절삭, 건조, 재단, 조판, 접착, 검사 하여 각종 합판 및 목질보드 등을 제조하는 직무 수행.
합판제조업은 가구, 건축 및 건설용 합판을 생산하는 기간산업으로서 1980년대 초반까지 는 수출 주도품목으로 겨에성장에 크게 기여했으나, 1980년대 중반이후 주변 여건의 변 화로 국내 합판산업이 위축되고 있으며, 기능인력의 안정적인 수급에 문제를 맞았다.이에 합판생산업체의 원활한 기능인력공급에 기여하며 합판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자 자격종목을 제정.
- 수행직무
합판제조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원묵을 절단. 절삭, 건조, 재단, 조판, 접착, 검사 하여 각종 합판 및 목질보드 등을 제조하는 직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자격취득 후 합판제조업체, 가구제작업체 등에 취업이 가능하며, 원묵의 수입 및 운반 이 용이한 부산, 군산, 인천지역에 합판제조업체들이 분포되어 있다.「산림법」에 따 라 임업지도사 자격을 취득하여 임업협동조합중앙회, 임업협동조합에 임업기술 지도 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21세기 산업사회의 심각한 문제 중 하나는 에너지 및 자원이다.화석자원의 고갈이 예상됨에 따라 재생가능한 목재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목제는 Green Round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됨에 따라 보다 깨끗한 환경을 조성하 기 위한 자원으로 그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목재자원의 이용방안은 현재 그 범위가 학대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임산분야에 종사하는 전문인력은 부족한 현실 이다.특히 합판제조업은 원목의 절단, 절삭, 압축 등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진동, 악취, 분진 등으로 근로환경이 열악하고 원목을 취급할 때 위험부답과 육체노 동으로 인해 이 분야로 취업을 선호하는 편이다.정부에서는 「병역의무 특례규제 에 관한 법률」로 합판생산업체를 병역특례업체로 선정하고 있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시험과목- 필기 : 1.목재이학, 2.목질재료, 3.안전관리- 실기 : 목질재료 생산 작업.③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3시간 정도, 배점 100점)④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득점자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목질재료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명
- 필기응시
- 1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0명
- 실기응시
- 0명
- 실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2023년 목질재료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0명
- 필기응시
- 0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0명
- 실기응시
- 0명
- 실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2022년 목질재료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0명
- 필기응시
- 0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0명
- 실기응시
- 0명
- 실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2021년 목질재료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0명
- 필기응시
- 0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0명
- 실기응시
- 0명
- 실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2020년 목질재료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0명
- 필기응시
- 0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0명
- 실기응시
- 0명
- 실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