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식품가공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식품.가공 | 기능사

comment

농, 축, 수산물을 원료로 가공처리하여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변화를 일으키게 하여 영양가 및 저장성을 높이거나 유용한 농, 축, 수산식품을 제조, 가공하는 등의 직무를 수행

농, 축, 수산물의 가공을 통한 부가가치 증대를 목적으로 각종 농, 축, 수산물의 처리, 가공, 이용 및 품질향상 등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개발이 수행되고 있고, 각종 식품가공산업의 규모도 커지고 있다.이에 따라 농, 축, 수산식품가공을 통해 식품의 소화율, 보존성을 높이고 맛과 형태를 사람들의 기호에 맞도록 하기 위해 산업현장에서 제조, 가공업무를 담당할 기능인력이 필요함에 따라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농, 축, 수산물을 원료로 가공처리하여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변화를 일으키게 하여 영양가 및 저장성을 높이거나 유용한 농, 축, 수산식품을 제조, 가공하는 등의 직무를 수행

진로 및 전망

각종 농, 축, 수산물가공업체, 제과 및 제빵업체, 식품저장업체, 식품첨가물업체, 냉동 및 냉장업체, 기타 식품가공업체 등으로 진출 할 수 있다.최근 정밀화학기술 및 생화학이 가동기술분야에 도입되어 식품제조공정이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고, 더 나아가 생물공학과 접목이 이루어지면서 새로운 식품소재의 개발 및 기존 농, 축, 수산물의 처리, 저장, 가공공정분야에서 고부가가치 기술개발로 이어지고 있다.동시에 식품업체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비용절감 차원에서 식품가공공정이 자동화, 현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이러한 식품공업분야의 기술발전에도 불구하고 식품가공분야는 사람의 식생활과 밀접히 관련되기 때문에 경기에 덜 민감한 편이다.이에 따라 농산.축산, 수산식품가공분야 기능인력에 대한 고용도 향후 현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식품가공, 식품제조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필기 : 1.식품화학, 2.식품위생학, 3.식품가공 및 기계- 실기 : 식품가공작업④ 검정방법- 필기 : 각 과목당 20문항,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4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식품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848명
필기응시
1,544명
필기합격
870명
합격률
56.3%
실기접수
1,731명
실기응시
1,616명
실기합격
1,299명
합격률
80.4%
2023년 식품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800명
필기응시
1,531명
필기합격
933명
합격률
60.9%
실기접수
1,780명
실기응시
1,681명
실기합격
1,369명
합격률
81.4%
2022년 식품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611명
필기응시
1,346명
필기합격
879명
합격률
65.3%
실기접수
1,670명
실기응시
1,573명
실기합격
1,372명
합격률
87.2%
2021년 식품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424명
필기응시
1,223명
필기합격
779명
합격률
63.7%
실기접수
1,626명
실기응시
1,526명
실기합격
1,357명
합격률
88.9%
2020년 식품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200명
필기응시
998명
필기합격
673명
합격률
67.4%
실기접수
1,538명
실기응시
1,483명
실기합격
1,398명
합격률
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