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철근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능사
comment
철근콘크리트의 기초, 기둥, 보, 바닥판, 옹벽 등과 기타 콘크리트조를 보강하기 위하 여 철근을 가공, 배근, 조립하는 작업 수행.
건축구조물의 대형화, 새로운 시공방법의 개발, 특수재료의 개발 등 신건축공사의 급격 한 증가로 인하여 건축시공분야에서 많은 기능인력이 요구됨에 따라 숙련 기능공을 양 성할 목적으로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철근콘크리트의 기초, 기둥, 보, 바닥판, 옹벽 등과 기타 콘크리트조를 보강하기 위하 여 철근을 가공, 배근, 조립하는 작업 수행.
- 진로 및 전망
- 자격취득에 따른 인센티브는 거의 없으며 실제 건설현장에서 기능을 습득하여 도배공 으로 취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작업의 특성상 일정한 회사에 상용직으로 고용되 지 않고 전문건설업체나 하도급자의 의뢰에 따라 작업을 수행한다.- 1998년 전문건설업통계연보에 의하며 1997년 1,917건의 면허를 발급하여 전년에 비 해 550건이 증가하였으며, 계약실적에 있어서 89,298억으로 1996년에 비해 11,801 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IMF로 일시 위축되었으나 최근 건설경기회복에 따른 대규모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가 진행중이거나 시공예정이 있어 철근기능사의 인 력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훈련기관 : 공공직업훈련원(12개월 과정)③ 시험과목- 실기 : 철근 작업④ 검정방법- 실기 : 작업형(5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철근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0명
- 필기응시
- 0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1,213명
- 실기응시
- 980명
- 실기합격
- 520명
- 합격률
- 53.1%
2023년 철근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0명
- 필기응시
- 0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1,977명
- 실기응시
- 1,577명
- 실기합격
- 914명
- 합격률
- 58.0%
2022년 철근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0명
- 필기응시
- 0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3,431명
- 실기응시
- 2,875명
- 실기합격
- 1,617명
- 합격률
- 56.2%
2021년 철근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0명
- 필기응시
- 0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4,999명
- 실기응시
- 4,407명
- 실기합격
- 2,476명
- 합격률
- 56.2%
2020년 철근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0명
- 필기응시
- 0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4,445명
- 실기응시
- 4,033명
- 실기합격
- 2,446명
- 합격률
- 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