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전기.전자 | 기능사
comment
각종 데이타를 처리하기위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앙처리장치, 주변장치, 입력 장치, 출력장치 및 보조기억장치를 정비하는 업무수행.
컴퓨터는 현대사회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받아들여질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중화되고 있다.이와 비례해서 컴퓨터 하드웨어의 고장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증 대하고 있어 전자회로와 기계적인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하드웨어를 신속하게 정비할 수 있는 기능인력의 양성이 필요하게 되어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각종 데이타를 처리하기위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앙처리장치, 주변장치, 입력 장치, 출력장치 및 보조기억장치를 정비하는 업무수행.
- 진로 및 전망
- 컴퓨터제조회사, 정보처리업체, 컴퓨터시스템 개발업체, 전자계산기 생산업체 및 판매 업체, 전자계산기의 주변장치 개발업체에 취업하거나 그 외 데이터 통신을 운영하는 기업체 및 공공기관 등에 취업할 수 있다.- 컴퓨터 보급과 이용의 확산으로 다양한 하드웨어 프로그램개발 뿐만 아니라 하드웨 어 분야의 유지, 보수, 관리 업무를 담당할 공인된 능력을 소요한 전문인력의 수요 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또한 소프트웨분야와 인터넷 개발 및 제작에 관한 지식 을 겸비한다면 취업영역이 확대되므로 관련분야에 대한 폭넓은 관심과 기술습득 노력 이 요구된다.또 자격을 취득한 후 6년이상 공사업무를 수행한 경력이 있으며 「정 보통신공사업법」에 의해 도급금액5억원 미만의 공사에 감리원으로 고용될 수 있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전자과, 전자응용과, 전자기계과, 전자응용기계과 등 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인정직업훈련원, 일반사설학원④ 시험과목- 필기 : 1.전기전자공학 2.전자계산기구조 3.프로그래밍일반 4.디지털공학- 실기 : 전자계산기구성회로의 조립, 조정 및 수리작업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4시간정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전자계산기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559명
- 필기응시
- 1,332명
- 필기합격
- 478명
- 합격률
- 35.9%
- 실기접수
- 683명
- 실기응시
- 637명
- 실기합격
- 487명
- 합격률
- 76.5%
2023년 전자계산기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606명
- 필기응시
- 1,430명
- 필기합격
- 509명
- 합격률
- 35.6%
- 실기접수
- 785명
- 실기응시
- 741명
- 실기합격
- 573명
- 합격률
- 77.3%
2022년 전자계산기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387명
- 필기응시
- 1,178명
- 필기합격
- 399명
- 합격률
- 33.9%
- 실기접수
- 758명
- 실기응시
- 701명
- 실기합격
- 530명
- 합격률
- 75.6%
2021년 전자계산기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2,074명
- 필기응시
- 1,852명
- 필기합격
- 894명
- 합격률
- 48.3%
- 실기접수
- 1,172명
- 실기응시
- 1,039명
- 실기합격
- 692명
- 합격률
- 66.6%
2020년 전자계산기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545명
- 필기응시
- 1,343명
- 필기합격
- 658명
- 합격률
- 49.0%
- 실기접수
- 904명
- 실기응시
- 837명
- 실기합격
- 624명
- 합격률
- 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