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유기농업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농림어업 | 기능사

comment

유기농업 분야의 입지선정, 작목선정, 경영여건분석, 환경분석 등을 기획하고, 윤작체 계 및 자재의 선정,토양비옥도 및 병해충방지, 시비방법선정 사료확보 등 생산 , 축사 설계, 축사분뇨처리업무와 유기농산물원료의 가공, 포장, 유통 직무 수행

최근 환경오염과 함께 유기농업의 중요성 및 수요는 증대되고 있으며, 과거 저 부가가 치의 농작물에서 고 부가가치가 가능한 농작물로 전환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이러한 고부 가가치 작물생산의 한 방안으로 최근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유기농업이란 화학비료, 유기합성농약(농약, 생장조절제, 제초제 등), 가축사료첨가 제 등 일체의 합성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유기물과 자연광석 미생물 등 자연적인 자 재만을 사용하는 농법을 말한다.이러한 유기농업은 단순히자연보호 및 농가소득증대라 는 소극적 중요성을 떠나, WTO에 대응하여 자국농업을 보호하는 수단이 되며, 아울러 국 민의 보건복지 증진이라는 의미에서도 매우 중요하다.이러한 유기농업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전문 유기농업인력을 육성 ·공급할 수 있 는 자격신설이 필요하게 됨

수행직무

유기농업 분야의 입지선정, 작목선정, 경영여건분석, 환경분석 등을 기획하고, 윤작체 계 및 자재의 선정,토양비옥도 및 병해충방지, 시비방법선정 사료확보 등 생산 , 축사 설계, 축사분뇨처리업무와 유기농산물원료의 가공, 포장, 유통 직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주로 유기농업 관련 단체, 유기농업 가공 회사, 유기농산물 유통회사 - 시·도·군 지자체의 환경농업 담당공무원, 유기농업 및 유기식품 연구기관의 연구원 - 국제유기식품 품질인증기관의 인증책임자 및 조사원(Inspector) - 소비자단체, 환경보호단체, 사회단체 등 NGO의 직원"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교육기관 : 원예관련 농업고등학교, 소비자보호단체의 교육기관, 환경보호단체 교육 기관 등③ 시험과목- 필기 : 1.작물재배 2.토양관리 3.유기농업일반- 실기 : 유기농 생산 작업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60문항(1시간)- 실기 : 작업형(2시간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유기농업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6,407명
필기응시
5,260명
필기합격
2,761명
합격률
52.5%
실기접수
3,413명
실기응시
2,919명
실기합격
2,191명
합격률
75.1%
2023년 유기농업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6,999명
필기응시
5,617명
필기합격
3,056명
합격률
54.4%
실기접수
4,240명
실기응시
3,647명
실기합격
3,094명
합격률
84.8%
2022년 유기농업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5,548명
필기응시
4,507명
필기합격
2,514명
합격률
55.8%
실기접수
3,564명
실기응시
3,068명
실기합격
1,075명
합격률
35.0%
2021년 유기농업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6,434명
필기응시
5,491명
필기합격
3,299명
합격률
60.1%
실기접수
3,723명
실기응시
3,338명
실기합격
2,676명
합격률
80.2%
2020년 유기농업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4,955명
필기응시
4,163명
필기합격
2,627명
합격률
63.1%
실기접수
2,632명
실기응시
2,516명
실기합격
2,474명
합격률
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