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능사
comment
각종 수동공구, 동력공구 및 점검장비를 이용하여 엔진, 새시, 전기장치 등의 결함이나 고장부위를 진단하고 알맞은 부품으로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직무를 수행.
자동차정비는 자동차의 기계상의 결함이나 사고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정상적으로 운행되 지 못할 때 원인을 찾아내어 정비하는 것을 말한다.최근 운행자동차 수의 증가로 정 비의 필요성의 증가함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자동차정비의 효율성 및 안정성 확보를 위 한 제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비분야 기능인력 양성이 필요하게 됨.
- 수행직무
각종 수동공구, 동력공구 및 점검장비를 이용하여 엔진, 새시, 전기장치 등의 결함이나 고장부위를 진단하고 알맞은 부품으로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직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 주로 자동차업체의 생산현장이나 판매 및 A/S부서, 외제차수입업체, 자동차정비업체, 자동차운수업체에 취업하며, 일부는 카센타, 카인테리어, 밧데리점, 튜닝전문점, 오 토매틱전문점에 고용되거나 개업한다.「자동차관리법」에 의해 자격취득 후 자동 차 정비 또는 검사분야에 3년 이상 근무할 경우 자동차운수사업체, 자동차점검정비업 체의 정비책임자로 고용될 수 있다.- 자동차정비분야의 기능인력수요는 당분간 현재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하지만 아직 까지 기능인력 중에는 자격증 미취득자가 많아 자격취득시 취업에 유리할 전망이 다.참고로 최근 자동차정비원의 전체 고용은 1995년 45,813명, 1996년 45,117명, 1997년 36,168명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이 중 자격증미소지자의 감소비율이 매우 높 은 편이다.이러한 감소추세는 경제가 회복됨에 따라 안정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 다.한편으로 자동차생산기술의 발달에 따른 품질향상은 고장률의 감소와 사고의 감 소로 이어져 정비인력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반면 자동차의 선택사 양이 다양해지고 액세서리 부속품의 장착 및 고장수리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 어 이를 상쇄할 것이다.기술적인 면에서는 자동차전기 및 전자관련 기술수요가 증 가할 것으로 보인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자동차 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공공직업훈련원, 사업체내직업훈련원, 인정직업훈련원, 사설학원④ 시험과목- 필기 : 1.자동차공학 2.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3.안전관리- 실기 : 자동차정비 작업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 (4시간 정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자동차정비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6,617명
- 필기응시
- 13,605명
- 필기합격
- 5,004명
- 합격률
- 36.8%
- 실기접수
- 7,166명
- 실기응시
- 6,367명
- 실기합격
- 4,435명
- 합격률
- 69.7%
2023년 자동차정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6,868명
- 필기응시
- 13,542명
- 필기합격
- 5,142명
- 합격률
- 38.0%
- 실기접수
- 7,196명
- 실기응시
- 6,486명
- 실기합격
- 4,634명
- 합격률
- 71.4%
2022년 자동차정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5,137명
- 필기응시
- 12,221명
- 필기합격
- 4,250명
- 합격률
- 34.8%
- 실기접수
- 6,596명
- 실기응시
- 5,815명
- 실기합격
- 4,122명
- 합격률
- 70.9%
2021년 자동차정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7,705명
- 필기응시
- 14,935명
- 필기합격
- 6,138명
- 합격률
- 41.1%
- 실기접수
- 9,368명
- 실기응시
- 8,385명
- 실기합격
- 5,703명
- 합격률
- 68.0%
2020년 자동차정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5,214명
- 필기응시
- 12,620명
- 필기합격
- 5,695명
- 합격률
- 45.1%
- 실기접수
- 9,466명
- 실기응시
- 8,541명
- 실기합격
- 5,851명
- 합격률
- 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