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능사
comment
CAD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면을 작성하거나 수정, 출도를 하며 부품도를 도면의 형식에 맞게 배열하고 단면 형상의 표시 및 치수 노트를 작성. 또한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부품의 전개도, 조립도, 재단도, 유압회로, 전기회로, 배관회로 등을 제도하는 업무 수행
전자·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기계제도 분야에서도 컴퓨터에 의한 설계 및 생산시스템(CAD/CAM)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고 응용할 수 있는 인력은 부족한 편이다.이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산응용기계제도분야의 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을 제정.
- 수행직무
CAD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면을 작성하거나 수정, 출도를 하며 부품도를 도면의 형식에 맞게 배열하고 단면 형상의 표시 및 치수 노트를 작성.또한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부품의 전개도, 조립도, 재단도, 유압회로, 전기회로, 배관회로 등을 제도하는 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기계, 조선, 항공, 전기, 전자, 건설, 환경, 플랜트엔지니어링분야 등으로 진출한다.최근 기계제도분야에서는 CAD시스템 사용보편화와 CAD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전산응용기계제도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이에 따라 향후 시스템 운용을 담당할 기능인력이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최근 5년간 자격응시인원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기계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공공직업훈련원, 사업체내직업훈련원 및 인정직업훈 련원, 생산기술연구원부설 기술교육센터,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중소기업 연수원④ 시험과목- 필기 : 1.기계재료 및 요소 2.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3.기계제도(CAD)- 실기 : 전산응용 기계제도 작업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4시간 정도)⑥ 합격기준-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2,085명
- 필기응시
- 10,044명
- 필기합격
- 3,135명
- 합격률
- 31.2%
- 실기접수
- 4,103명
- 실기응시
- 3,100명
- 실기합격
- 1,643명
- 합격률
- 53.0%
2023년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2,190명
- 필기응시
- 10,180명
- 필기합격
- 3,135명
- 합격률
- 30.8%
- 실기접수
- 4,206명
- 실기응시
- 3,234명
- 실기합격
- 1,620명
- 합격률
- 50.1%
2022년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0,351명
- 필기응시
- 8,562명
- 필기합격
- 2,840명
- 합격률
- 33.2%
- 실기접수
- 4,512명
- 실기응시
- 3,557명
- 실기합격
- 1,817명
- 합격률
- 51.1%
2021년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2,582명
- 필기응시
- 10,856명
- 필기합격
- 5,435명
- 합격률
- 50.1%
- 실기접수
- 6,972명
- 실기응시
- 5,464명
- 실기합격
- 2,475명
- 합격률
- 45.3%
2020년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1,100명
- 필기응시
- 9,417명
- 필기합격
- 5,011명
- 합격률
- 53.2%
- 실기접수
- 6,774명
- 실기응시
- 5,369명
- 실기합격
- 2,336명
- 합격률
- 43.5%
2019년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4,779명
- 필기응시
- 12,606명
- 필기합격
- 6,303명
- 합격률
- 50.0%
- 실기접수
- 8,440명
- 실기응시
- 6,976명
- 실기합격
- 3,352명
- 합격률
-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