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처리기능장
국가기술자격 | 재료 | 기능장
comment
도금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자로서 역할 수행.
도금은 어떠한 제품을 만들 때 최종 공정에 해당되므로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좌우할 뿐만 아니라 성능 및 수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이에 따라 금속제품의 품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각종 화학약품과 도금장치를 이용한 도금업무를 수행하는 숙련기능인력 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도금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자로서 역할 수행.
- 진로 및 전망
- 도금, 표면처리 업체, 열처리업체, 자동차부품, 전자 및 전기기기부품, 반도체부 품, 일반기계부품, 정밀기계부품업체 등 일반 산업체에 진출할 수 있다.또는 풍부 한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표면처리에 관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로 활동하기도 한다.- 도금 및 표면처리의 활용 및 응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표면처리기능장은 실 제 표면처리작업에 대한 최상급의 기능을 소지하고 있는 전문인력으로서 대우를 받는 다.자격증 취득 후 현장에서 주로 종사자들의 표면처리작업전반을 지도·감독하면 서 표면처리에 대한 최고의 숙련 기능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② 관련학과 : 교육 및 훈련기관의 금속과, 재료과, 금속재료과, 재료정보과, 재료응용과, 신소재과 등③ 훈련기관 : 기능대학의 기능장 과정④ 시험과목- 필기 : 전기화학, 표면처리, 금속재료 및 안전관리, 자동생산시스템, 공업경영에 관한 사항- 실기 : 표면처리 실무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필답형(2시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표면처리기능장 합격률
- 필기접수
- 134명
- 필기응시
- 122명
- 필기합격
- 76명
- 합격률
- 62.3%
- 실기접수
- 89명
- 실기응시
- 86명
- 실기합격
- 45명
- 합격률
- 52.3%
2023년 표면처리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110명
- 필기응시
- 101명
- 필기합격
- 62명
- 합격률
- 61.4%
- 실기접수
- 71명
- 실기응시
- 69명
- 실기합격
- 33명
- 합격률
- 47.8%
2022년 표면처리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58명
- 필기응시
- 49명
- 필기합격
- 33명
- 합격률
- 67.3%
- 실기접수
- 53명
- 실기응시
- 53명
- 실기합격
- 20명
- 합격률
- 37.7%
2021년 표면처리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54명
- 필기응시
- 47명
- 필기합격
- 27명
- 합격률
- 57.4%
- 실기접수
- 52명
- 실기응시
- 51명
- 실기합격
- 6명
- 합격률
- 11.8%
2020년 표면처리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52명
- 필기응시
- 48명
- 필기합격
- 29명
- 합격률
- 60.4%
- 실기접수
- 41명
- 실기응시
- 39명
- 실기합격
- 4명
- 합격률
-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