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능장
국가기술자격 | 재료 | 기능장
comment
용접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등 의 업무 수행.
용접은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및 건설 등의 산업에서 제품이나 설비의 제조, 조립, 설치, 보수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이에 따라 용접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반 환경조성과 전문화된 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자격을 제정.
- 수행직무
용접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등 의 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건설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진출하고 있으며, 이외에 도 행정분야, 학계, 연구소 등으로도 진출할 수 있다.「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철도·궤도공사업, 가스시설공사업의 기술인력으로 고용될 수 있다.- 용접의 활용범위와 소재가 날로 광범위해지고 자동화, 로봇화되면서 용접의 고강도 화, 고탄성화, 고정밀화, 용접변형의 극소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극한 환경아래에 서도 용접이 가능한 무인화가 추진되고 있다.이에 따라 고도의 현장적용능력과 관 리능력을 갖춘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용접과③ 훈련기관 : 공공직업훈련원, 인정직업훈련원, 일반 사설학원④ 시험과목- 필기 : 용접재료, 용접설계시공, 용접공학, 용접자동화, 용접 검사, 공업경영에 관한 사항- 실기 : 용접 실무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 (6시간 정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용접기능장 합격률
- 필기접수
- 1,486명
- 필기응시
- 1,287명
- 필기합격
- 603명
- 합격률
- 46.9%
- 실기접수
- 1,175명
- 실기응시
- 1,095명
- 실기합격
- 216명
- 합격률
- 19.7%
2023년 용접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1,585명
- 필기응시
- 1,366명
- 필기합격
- 632명
- 합격률
- 46.3%
- 실기접수
- 1,213명
- 실기응시
- 1,142명
- 실기합격
- 247명
- 합격률
- 21.6%
2022년 용접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1,440명
- 필기응시
- 1,249명
- 필기합격
- 583명
- 합격률
- 46.7%
- 실기접수
- 1,165명
- 실기응시
- 1,101명
- 실기합격
- 251명
- 합격률
- 22.8%
2021년 용접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1,515명
- 필기응시
- 1,356명
- 필기합격
- 667명
- 합격률
- 49.2%
- 실기접수
- 1,247명
- 실기응시
- 1,178명
- 실기합격
- 325명
- 합격률
- 27.6%
2020년 용접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1,412명
- 필기응시
- 1,208명
- 필기합격
- 611명
- 합격률
- 50.6%
- 실기접수
- 1,463명
- 실기응시
- 1,381명
- 실기합격
- 372명
- 합격률
- 26.9%
2019년 용접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2,214명
- 필기응시
- 1,928명
- 필기합격
- 985명
- 합격률
- 51.1%
- 실기접수
- 1,867명
- 실기응시
- 1,788명
- 실기합격
- 476명
- 합격률
-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