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금속가공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 인쇄.목재.가구.공예 | 기사
comment
세공할 모양, 형태에 따라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과 보석광물, 합성석 및 모조석을 소재로 금속용 수공구 및 동력공구를 사용하여 반지, 목거리, 귀걸이 등 신변 장신구, 식탁용품 및 예술품을 제작하고 수리하는 업무수행.
귀금속가공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귀금속 재료 및 가공기법 등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무를 겸비하고 귀금속 디자인 및 세공 등 복합적인 기능업무를 수행 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세공할 모양, 형태에 따라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과 보석광물, 합성석 및 모조석을 소재로 금속용 수공구 및 동력공구를 사용하여 반지, 목거리, 귀걸이 등 신변 장신구, 식탁용품 및 예술품을 제작하고 수리하는 업무수행.
- 진로 및 전망
- 귀금속공방, 금은세공업체, 귀금속가공업체, 장신구류제조업체 및 판매업체, 귀금속 판매업체 등의 취업하거나 자영업을 할 수 있다.- 귀금속의 특성상 기계제품보다는 수공제품이 여전히 고부가가치로 경쟁력을 유지하 고 있어 귀금속가공과 관련된 숙련된 전문인력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전북익산에 귀금속·보석가공공단을 설치하는 등 귀금속가공산업에 수출전략 산 업으로 육성됨에 따라 숙련된 인력의 수요는 늘어날 전망이다.또한 어느 정도 경력 이 쌓이면 귀금속공방을 자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전문대학 및 대학의 공예과, 귀금속공예과, 귀금속디자인가공과 등 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안성여자기능대학 등④ 시험과목 - 필기1. 장신구디자인론2. 보석재료 및 가공기법3. 귀금속재료 및 가공기법4. 보석감별 및 감정- 실기 : 금속공예 실무⑤ 검정방법- 필기 : 과목당 객관식 20문항 (과목당 30분)- 실기 : 작업형(7시간 정도)⑥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귀금속가공산업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36명
- 필기응시
- 29명
- 필기합격
- 19명
- 합격률
- 65.5%
- 실기접수
- 22명
- 실기응시
- 21명
- 실기합격
- 16명
- 합격률
- 76.2%
2023년 귀금속가공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48명
- 필기응시
- 42명
- 필기합격
- 24명
- 합격률
- 57.1%
- 실기접수
- 27명
- 실기응시
- 27명
- 실기합격
- 16명
- 합격률
- 59.3%
2022년 귀금속가공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52명
- 필기응시
- 46명
- 필기합격
- 30명
- 합격률
- 65.2%
- 실기접수
- 30명
- 실기응시
- 29명
- 실기합격
- 19명
- 합격률
- 65.5%
2021년 귀금속가공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60명
- 필기응시
- 54명
- 필기합격
- 33명
- 합격률
- 61.1%
- 실기접수
- 34명
- 실기응시
- 34명
- 실기합격
- 28명
- 합격률
- 82.4%
2020년 귀금속가공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48명
- 필기응시
- 41명
- 필기합격
- 22명
- 합격률
- 53.7%
- 실기접수
- 27명
- 실기응시
- 27명
- 실기합격
- 11명
- 합격률
-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