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 농림어업 | 기사
comment
식물보호에 관한 기술이론 지식 또는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식물의 피해의 진단 및 방제 등의 복합적인 기능업무를 수행. 구체적으로 농작물의 병, 해충의 발생원인을 분석하 고 농작물, 수목등 식물의 병, 해충, 잡초를 정확히 감별하여 적용약제를 선정하며, 재 배식물에 적합한 토양의 개선, 토양 및 기후에 맞는 각종 유기질 물질을 선정하여 식물 이 가장 잘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만드는 직무 수행.
증산을 위해 새로운 품종이나 집약적인 재배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병·해충의 발생양상 이 복잡해지고, 농약사용에 따른 환경오염문제, 식품에 농약의 잔류독성 문제가 야기됨 에 따라 효과적인 식물보호를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능을 갖춘 고급인력을 양성하고 자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식물보호에 관한 기술이론 지식 또는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식물의 피해의 진단 및 방제 등의 복합적인 기능업무를 수행.구체적으로 농작물의 병, 해충의 발생원인을 분석하 고 농작물, 수목등 식물의 병, 해충, 잡초를 정확히 감별하여 적용약제를 선정하며, 재 배식물에 적합한 토양의 개선, 토양 및 기후에 맞는 각종 유기질 물질을 선정하여 식물 이 가장 잘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만드는 직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농촌진흥청, 산림청, 식물검역소, 등 공공기관과 농약판매상, 식물방역업체, 식물병 원, 종자보급소 등으로 진출하거나 독자적으로 식물방역업체나 식물병원을 운영할 수 있다.- 최근 농작물보호 이외 도시미화, 주거환경 개선에 따라 도시의 가로수나 정원수, 화 훼 등도 직무대상이 되므로 종사영역이 넓어지고 있다.최근 응시자수가 급격히 증가 하고 있고, 합격자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원예과, 화훼원예과, 농(업)생물학과, 농화학과 등③ 시험과목- 필기 :1. 식물병리학2. 농림해충학3. 농약학4. 잡초방제학- 실기 : 식물보호실무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작업형(2시간 30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평균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식물보호산업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4,539명
- 필기응시
- 3,114명
- 필기합격
- 1,233명
- 합격률
- 39.6%
- 실기접수
- 2,610명
- 실기응시
- 2,071명
- 실기합격
- 1,030명
- 합격률
- 49.7%
2023년 식물보호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4,682명
- 필기응시
- 3,208명
- 필기합격
- 1,859명
- 합격률
- 57.9%
- 실기접수
- 2,712명
- 실기응시
- 2,291명
- 실기합격
- 912명
- 합격률
- 39.8%
2022년 식물보호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4,025명
- 필기응시
- 2,831명
- 필기합격
- 1,640명
- 합격률
- 57.9%
- 실기접수
- 2,318명
- 실기응시
- 2,122명
- 실기합격
- 1,368명
- 합격률
- 64.5%
2021년 식물보호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3,810명
- 필기응시
- 2,690명
- 필기합격
- 1,559명
- 합격률
- 58.0%
- 실기접수
- 1,898명
- 실기응시
- 1,742명
- 실기합격
- 1,022명
- 합격률
- 58.7%
2020년 식물보호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2,647명
- 필기응시
- 2,019명
- 필기합격
- 1,039명
- 합격률
- 51.5%
- 실기접수
- 1,319명
- 실기응시
- 1,192명
- 실기합격
- 808명
- 합격률
- 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