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양식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 농림어업 | 기사
comment
양식조건에 적합한 수산생물을 선정하고 적절한 시설을 제작하여 수산생물을 양식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어미로부터 알을 받아 수정시킨 후 부화시키거나 해조류의 종묘를 배 양하고 옮겨 심어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 수행.
인구가 증가와 소득증대에 따라 수산물 소비량이 급증하여 자원고갈과 식량문제가 나타 나게 되었다.이러한 상황에서 인류의 식량문제해결과 수산양식의 발전을 위하여 어류 나 해조류의 번식려과 생장력을 높여 수산자원의 수요를 충족하고 고갈을 방지하는 전 문 인력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양식조건에 적합한 수산생물을 선정하고 적절한 시설을 제작하여 수산생물을 양식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어미로부터 알을 받아 수정시킨 후 부화시키거나 해조류의 종묘를 배 양하고 옮겨 심어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해양자원을 연구하는 연구기관 및 행정기관, 수산관련공무원, 수산기술자, 연근해 및 원양어업, 수산협동조합, 수산회사, 어망 및 선수품 회사, 수산물 가공 업체, 냉동냉 장업체, 연근해 양식장과 내수면의 양식장에 진출할 수 있다.그러나 양식업을 하는 업체의 규모가 영세한 편이어서 업체별로 적은 수의 인원이 취업하고 있으며 자영업 을 하기도 한다.- 양식기술이 발달함으로써 외국어종의 이식사육이 성공하고 신품종의 개발, 인공종묘 생산기술의 확대, 사료의 개발 및 고밀도 양식기술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고, 수출 도 양식수산물의 물량이 증가하고 있어 인력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최근 응시자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합격자수는 적은 편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수산전문대 등 전문대학과 대학의 양식학과 및 수산증식과, 해양자원 육성공학과, 수족 병리학과, 수산자원학과, 자원육성학과, 증식학과, 수산생명의학과, 해양생명양식학과, 해양생명개발학과 등③ 시험과목- 필기 :1. 어류양식2. 무척추동물양식3. 해조류양식4. 수산생물5. 수질분석 및 양식생물 질병- 실기 : 수산양식실무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필답형(2시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평균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수산양식산업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03명
- 필기응시
- 74명
- 필기합격
- 23명
- 합격률
- 31.1%
- 실기접수
- 22명
- 실기응시
- 16명
- 실기합격
- 5명
- 합격률
- 31.3%
2023년 수산양식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97명
- 필기응시
- 76명
- 필기합격
- 23명
- 합격률
- 30.3%
- 실기접수
- 26명
- 실기응시
- 18명
- 실기합격
- 10명
- 합격률
- 55.6%
2022년 수산양식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03명
- 필기응시
- 70명
- 필기합격
- 30명
- 합격률
- 42.9%
- 실기접수
- 42명
- 실기응시
- 34명
- 실기합격
- 14명
- 합격률
- 41.2%
2021년 수산양식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48명
- 필기응시
- 112명
- 필기합격
- 50명
- 합격률
- 44.6%
- 실기접수
- 55명
- 실기응시
- 50명
- 실기합격
- 1명
- 합격률
- 2.0%
2020년 수산양식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02명
- 필기응시
- 92명
- 필기합격
- 38명
- 합격률
- 41.3%
- 실기접수
- 53명
- 실기응시
- 48명
- 실기합격
- 2명
- 합격률
-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