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 농림어업 | 기사
comment
축산에 관한 기술기초이론 지식 또는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복합적인 기능업무를 수행. 구체적으로 질좋은 우유, 육류, 난류와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유전자 조작을 통해 새로운 형질의 가축을 생산, 개선하고, 소 돼지, 닭, 토끼, 양, 벌과 같은 가축 을 사육, 번식, 관리하는 직무를 수행하고, 선을 통한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효 율이 높은 사료를 개발하고 보존자원을 동물의 먹이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사료재원 을 개발하는 업무수행.
육류사용의 증가에 따른 축산업 규모의 확대와 아울러 고도의 기술이 필요함에 따라 가 축을 합리적으로 사육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함으로써 품질 좋은 축산물을 생산공 급하고, 국제경쟁에 대처할 수 있는 축산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축산에 관한 기술기초이론 지식 또는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복합적인 기능업무를 수행.구체적으로 질좋은 우유, 육류, 난류와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유전자 조작을 통해 새로운 형질의 가축을 생산, 개선하고, 소 돼지, 닭, 토끼, 양, 벌과 같은 가축 을 사육, 번식, 관리하는 직무를 수행하고, 선을 통한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효 율이 높은 사료를 개발하고 보존자원을 동물의 먹이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사료재원 을 개발하는 업무수행.
- 진로 및 전망
- 축산관련 협동조합, 축산물유통회사, 유가공회사, 사료회사, 축산관련공무원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농장을 경영하고 농장근무, 자영업에 종사할 수 있다.- 동물자원은 인류의 식량자원이며, 생활환경을 조성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따라서 이 소중한 자원을 어떻게 관리하고 이용하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좌우된다.동물자 원은 인류에게 귀중한 식품, 의류, 약품의 원료를 제공하고, 애완동물로서 현대인에 게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또한 동물산업의 대상이 소, 돼지, 닭 등의 주요 축 종으로부터 모튼 동물로 확대되고 있으며, 시설자동화 및 유전공학적인 기법에 의한 생산성의 증가와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창출을 탐색하는 등 축산 관련 산업도 전문화 되고 있다.국민소득이 증대됨에 따라 축산물소비량도 점차 증가하고있으며, 최근 응시자와 합격자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축산(학)과, 축산경영학과, 축산개발과 사료영양학과 등③ 시험과목- 필기 :1. 가축번식육종학2. 가축사양학3. 축산경영학4. 사료작물학- 실기 : 축산실무.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1시간 30분) + 작업형(3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평균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축산산업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131명
- 필기응시
- 777명
- 필기합격
- 269명
- 합격률
- 34.6%
- 실기접수
- 428명
- 실기응시
- 343명
- 실기합격
- 180명
- 합격률
- 52.5%
2023년 축산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142명
- 필기응시
- 775명
- 필기합격
- 259명
- 합격률
- 33.4%
- 실기접수
- 384명
- 실기응시
- 318명
- 실기합격
- 154명
- 합격률
- 48.4%
2022년 축산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070명
- 필기응시
- 749명
- 필기합격
- 256명
- 합격률
- 34.2%
- 실기접수
- 423명
- 실기응시
- 353명
- 실기합격
- 160명
- 합격률
- 45.3%
2021년 축산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093명
- 필기응시
- 812명
- 필기합격
- 282명
- 합격률
- 34.7%
- 실기접수
- 436명
- 실기응시
- 359명
- 실기합격
- 203명
- 합격률
- 56.5%
2020년 축산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738명
- 필기응시
- 577명
- 필기합격
- 306명
- 합격률
- 53.0%
- 실기접수
- 452명
- 실기응시
- 403명
- 실기합격
- 117명
- 합격률
-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