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철도동력차전기정비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사

comment

철도동력차전기정비에 대한 기초적인 기술지식과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전기동차, 전기기 관차의 검수규정에 따라 각종 공구와 장비를 사용하여 전기차의 발전기, 전동기 등과 같은 전기기기와 전기장치를 분해, 검사하고 수리한 후 조립하는 업무 수행. 또는 이 는 관련한 지도적 기능업무 시행

최근 전기철도분야의 수송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전기분야 기능인력의 필요성이 더욱커지 고 있다.이에 따라 철도동력차의 원활하고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산업현장에서 철도 차량의 각종기기 및 배전반 등 전기분야 정비업무를 수행할 전문 숙련기능인력을 양성 하기 위하여 자격을 제정.

수행직무

철도동력차전기정비에 대한 기초적인 기술지식과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전기동차, 전기기 관차의 검수규정에 따라 각종 공구와 장비를 사용하여 전기차의 발전기, 전동기 등과 같은 전기기기와 전기장치를 분해, 검사하고 수리한 후 조립하는 업무 수행.또는 이 는 관련한 지도적 기능업무 시행

진로 및 전망

- 주로 철도청의 검수원(공무원신분)이나 지하철공사, 도시철도공사의 전동차량정비원으 로 고용되어 철도차량정비창, 전기사무소, 제어사무소 등에서 근무한다.자격증 취 득은 채용시 가산점부여, 근무평정시 가점, 우선승진기회가 주어지는 등 장점이 많 다.이외에 철도차량생산업체, 전동차생산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국내 철도관련 정비기능인력에 대한 수요는 대부분 철도청, 지하철공사 및 도시철도 공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먼저 철도청 소속 차량전기분야 검수원으로의 진출 은 공개채용에 의해 선발된다.향후 고속철도 개통, 철도복선화 등 고용창출요소가 있긴 하지만 장기적이고 채용규모도 소규모에 그칠 전망이다.하지만 기존 인력의 이·퇴직 등 대체수요에 의한 고용창출이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반면 철도기술의 발달과 생산성향상을 위한 경영구조개선노력 등은 인력을 감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 하게 될 것이다.이에 따라 전체적인 고용수준은 현재와 비슷할 전망이다.참고로 1998년 말 기능직 철도공무원 공채시 차량 전기분야의 경쟁률은 6.5대 1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하철공사 및 도시철도공사 소속 전동차량전기정비원으로서의 진출은 단기 적으로는 대도시 내의 전동차 노선증설에 의해, 장기적으로는 지방도시에서의 지하철 건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또한 개통지역별 고용창출이 이루어질 전망이 다.하지만 기존인력의 이·퇴직에 의한 일자리 창출은 근래에 개통된 지하철이 많 아 그 규모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한국철도전문대학의 철도차량기계과③ 시험과목 - 필기1. 전기기관차전기장치2. 전기동차전기장치3. 디젤전기기관차전기장치4. 동력차 전기제동장치- 실기 : 동력차전기장치 장비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작업형(3시간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철도동력차전기정비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27명
필기응시
21명
필기합격
15명
합격률
71.4%
실기접수
19명
실기응시
17명
실기합격
14명
합격률
82.4%
2023년 철도동력차전기정비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38명
필기응시
32명
필기합격
26명
합격률
81.3%
실기접수
34명
실기응시
32명
실기합격
24명
합격률
75.0%
2022년 철도동력차전기정비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65명
필기응시
54명
필기합격
11명
합격률
20.4%
실기접수
24명
실기응시
21명
실기합격
11명
합격률
52.4%
2021년 철도동력차전기정비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98명
필기응시
78명
필기합격
37명
합격률
47.4%
실기접수
51명
실기응시
48명
실기합격
33명
합격률
68.8%
2020년 철도동력차전기정비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46명
필기응시
123명
필기합격
55명
합격률
44.7%
실기접수
60명
실기응시
57명
실기합격
44명
합격률
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