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농업기계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사

comment

농업기계, 기계부품, 공구 등을 제작하거나 수리하기 위하여 부품을 맞추어 조립하는데 있어 지도적 기능업무 수행. 또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각종 농업기계의 안전사용을 위 한 교육을 실시함.

노동력중심의 농업에서 기계중심의 농업으로 전환되면서 농업생산비 절감 등 농업경영개 선을 위해 경운기, 이앙기, 콤바인, 곡물건조기, 바인더, 관리기, 트랙터 등 다양한 농 업기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이에 따라 안전하고 편리한 농업기계의 제작, 조립 또 는 정비를 위해 숙련기능을 갖춘 인력이 필요하게 됨.

수행직무

농업기계, 기계부품, 공구 등을 제작하거나 수리하기 위하여 부품을 맞추어 조립하는데 있어 지도적 기능업무 수행.또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각종 농업기계의 안전사용을 위 한 교육을 실시함.

진로 및 전망

- 농업기계생산업체, 농업기계수리·정비업체, 농업기계대리점, 농업기계 A/S센타, 농 협 농업기계 서비스센타 등에 진출할 수 있다.- 농업부문 취업자수 추이를 보면 1998년 경기하락에 따른 역이농현상에 따라 일시적으 로 증가세를 보인 것을 제외하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이런 원인 중의 하나 는 기계화에 따른 노동력절감도 한 몫을 차지한다.참고로 1998년말 현재 농기계화 율은 건조작업을 제외한 모든 작업분야에서 95%이상의 높은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농립부 농업정보통계관실, '98 농기계이용수지 및 농업기계화율 조사결과', 1999 참 조).현대 농업은 이처럼 경운기, 이앙기, 콤바인, 곡물건조기, 바인더, 관리기, 트 랙터 등 다양한 농업기계가 많이 사용되어 기계 중심으로 바뀌어가고 있다.1990년 대 중반 이후 국내 농업기계 생산이 점차 줄어들고 있긴 하지만, 국제화, 개방화 속 에서 농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을 통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농업기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이에 따라 새로운 농업기계 개발을 위한 기술인 력 뿐만 아니라 농민들의 편리하고 안전한 운전을 위한 농업기계의 제작 및 수리 등 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갖춘 전문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전문대학 및 대학의 기계공학, 동력기계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필기1. 농업기계공작법2. 농업기계요소3. 농업기계학4. 농업동력학- 실기 : 농업기계정비작업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작업형(3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농업기계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522명
필기응시
388명
필기합격
109명
합격률
28.1%
실기접수
136명
실기응시
116명
실기합격
94명
합격률
81.0%
2023년 농업기계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594명
필기응시
422명
필기합격
125명
합격률
29.6%
실기접수
151명
실기응시
138명
실기합격
110명
합격률
79.7%
2022년 농업기계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521명
필기응시
396명
필기합격
122명
합격률
30.8%
실기접수
143명
실기응시
129명
실기합격
91명
합격률
70.5%
2021년 농업기계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472명
필기응시
353명
필기합격
115명
합격률
32.6%
실기접수
146명
실기응시
127명
실기합격
58명
합격률
45.7%
2020년 농업기계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341명
필기응시
268명
필기합격
104명
합격률
38.8%
실기접수
136명
실기응시
126명
실기합격
89명
합격률
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