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어병기사

국가기술자격 | 농림어업 | 기사

comment

수계를 집약적으로 이용함으로서 유발되는 어류, 패류 및 갑각류 등 모든 양식생물의 각 종 질병(바이러스성 질병, 세균성 질병, 진균성 질병, 기생충성 질병, 영양성 질병)에 관한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수산생물의 질병에 관한 원인분석, 진단, 치교 및 예방대 책을 수립하고 지도하는 업무 수행.

수산생물 양식산업의 발달과 우수품종의개발에 따라 연안수산자원을 유지 관리 하고 종 묘를 생산, 방류하는 등 자연 해양생산력을 이용한 생산량이 비약적으로 증대되었다.따라서 양식생물의 질병발생률이 높아지고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산생 물의 질병에 대한 의학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게 되어 자격제 도 제정.

수행직무

수계를 집약적으로 이용함으로서 유발되는 어류, 패류 및 갑각류 등 모든 양식생물의 각 종 질병(바이러스성 질병, 세균성 질병, 진균성 질병, 기생충성 질병, 영양성 질병)에 관한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수산생물의 질병에 관한 원인분석, 진단, 치교 및 예방대 책을 수립하고 지도하는 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해양자원을 연구하는 연구기관 및 행정기관, 수산협동조합, 제약회사, 양식장,수산식 품가공업체, 수산회사, 식품가동업체, 냉동냉장업체, 등에 진출할 수 있다.연근해 양식장과 내수면의 양식자이 수족병리기사, 양어사료회사, 수산동물약품회사, 예방치 료분야, 임상병리분야로 진출가능하다.- 경제성장과 식생활의 개선, 식품가공업의 발달로 양식산업이 증가하고, 양식기술이 발달하여 외국어종의 이식사육이 성공하고 신품종의 개발, 인공종묘 생산기술의 확 대, 사료의 개발 및 고밀도 양식기술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이에 따라 수계의 집중적인인 이용과 수질오염으로 인해 질병의 종류 및 발생률이 증가하고, 양식업의 생산성 향상과 양식수산물의 수출물량이 증가하고 있어 인력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 망된다.최근 응시자수와 합격자수도 증가하고 합격륙도 높아지고 있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수산생명의학과, 해양생명의학과, 수족병리학과 등③ 시험과목 - 필기1. 미생물학2. 어병학3. 어류질병진단학 및 병리학4. 어패류기생충학5. 어패류약리학- 실기 : 어패류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에 관한 실무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1시간 30분) + 작업형(2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평균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어병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13명
필기응시
97명
필기합격
44명
합격률
45.4%
실기접수
50명
실기응시
50명
실기합격
19명
합격률
38.0%
2023년 어병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14명
필기응시
100명
필기합격
56명
합격률
56.0%
실기접수
58명
실기응시
56명
실기합격
44명
합격률
78.6%
2022년 어병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16명
필기응시
101명
필기합격
44명
합격률
43.6%
실기접수
53명
실기응시
52명
실기합격
46명
합격률
88.5%
2021년 어병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11명
필기응시
101명
필기합격
31명
합격률
30.7%
실기접수
32명
실기응시
30명
실기합격
15명
합격률
50.0%
2020년 어병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17명
필기응시
109명
필기합격
49명
합격률
45.0%
실기접수
58명
실기응시
58명
실기합격
52명
합격률
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