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임업종묘기사

국가기술자격 | 농림어업 | 기사

comment

각종 도구와 실험계기 등을 사용하여 종자를 검사하고 분석하며, 새로운 종자를 개발하 기 위하여 유전 등의 방법에 따라 재배시키고, 성장에 적정한 온도, 습도 등 환경조건 을 조사·연구하는 업무 수행하고, 종묘를 육성하기 위하여 묘포에서 행해지는 각종작 업을 관리, 감독하며, 병충해 등 산림보호에 관한 사항을 조사·연구함.

농촌연료 중심의 조림사업에서 경제림과 특수용림 중심으로 조림정책이 변화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토양, 기후 등 산림환경에 알맞는 종자개발과 묘목을 심는 기술개발에 필 요한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각종 도구와 실험계기 등을 사용하여 종자를 검사하고 분석하며, 새로운 종자를 개발하 기 위하여 유전 등의 방법에 따라 재배시키고, 성장에 적정한 온도, 습도 등 환경조건 을 조사·연구하는 업무 수행하고, 종묘를 육성하기 위하여 묘포에서 행해지는 각종작 업을 관리, 감독하며, 병충해 등 산림보호에 관한 사항을 조사·연구함.

진로 및 전망

- 산림청, 임업연구원, 지방산림관서 등의 종묘관련부서 공무원으로 진출하거나 임업연 구원, 임목육종연구소, 각 도 산림환경연구소, 국립공원관리공단, 임업종묘생산업 체, 목재관련 종합상사, 제지회사, 가구회사, 합판 등 목재회사, 해외조림 및 삼림개 발회사에 진출할 수 있다.또한 「산림법」에 따라 임업지도사 자격을 취득하여 산림 조합중앙회, 산림조합에 임업기술지도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산림녹화사업을 기반으로 산지의 소득원을 개발하고 산림의 공익기능을 증진하여 산지활용의 극대화를 위해 노력해왔다.특히 관상수, 조경수, 공원수와 같 이 조림용 이외 묘목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획일적인 조림권장 수종이 시대에서 산주 가 요구하는 수종을 양묘해야 할 시대로 변하고 있어 묘목의 질적향상을 도모할 필요 가 있다.「산림법」에도 임업기술지도 및 보급사무를 전담하기 위해 임업지도사, 임 업지도원을 산림조합 등에 배치하도록 하는 규정이 있다.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최근 응시자와 합격자수가 증가하고 있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임학, 원예, 산림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필기1. 조림학2. 임목육종학3. 산림보호학4. 토양학 및 비료학- 실기 : 임업종묘생산실무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1시간 30분) + 작업형(3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평균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임업종묘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89명
필기응시
64명
필기합격
29명
합격률
45.3%
실기접수
35명
실기응시
34명
실기합격
26명
합격률
76.5%
2023년 임업종묘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62명
필기응시
121명
필기합격
73명
합격률
60.3%
실기접수
69명
실기응시
66명
실기합격
57명
합격률
86.4%
2022년 임업종묘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53명
필기응시
126명
필기합격
74명
합격률
58.7%
실기접수
57명
실기응시
56명
실기합격
28명
합격률
50.0%
2021년 임업종묘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40명
필기응시
114명
필기합격
50명
합격률
43.9%
실기접수
42명
실기응시
41명
실기합격
39명
합격률
95.1%
2020년 임업종묘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74명
필기응시
65명
필기합격
24명
합격률
36.9%
실기접수
25명
실기응시
24명
실기합격
23명
합격률
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