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지적기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사

comment

지적측량에 따른 지적 측량계획을 수립하고 등사도 작성, 소도작송, 현지측량, 측량원도 작성, 면적측량부 작성 및 소관청에 의뢰하는 등 지적법에 의한 토지의 재산권 행사를 목적으로 하는 지적측량업무 수행

토지의 경계와 면적을 법률적으로 확정하는 행정처분에 따른 엄격한 규제 하에서 토지에 대한 물권이 미치는 한계를 정하는 사법적 측량의 정확성을 확보함으로써 지적행정의 원활한 운영과 발전을 도모하고, 측판측량, 경위의 측량, 전파기 또는 광파기측량, 사진측량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자격 제도 제정

수행직무

지적측량에 따른 지적 측량계획을 수립하고 등사도 작성, 소도작송, 현지측량, 측량원도 작성, 면적측량부 작성 및 소관청에 의뢰하는 등 지적법에 의한 토지의 재산권 행사를 목적으로 하는 지적측량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지적, 행정, 도시계획 관련 공무원, 대한지적공사, 토지공사, 설계회사, 시스템통합 (SI)회사 및 GIS관련 업체, 연구소, 학계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지적기사 자격취득자에 대한 인력수요는 증가할 것이다.일반측량과 지적측량의 일원화 문제 등 감소요인이 있으나 토지조사 이후 토지이동에 따른 지적정리과정에서 측량자체의 부정확한 성과와 제도방법에서 생기는 오차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국 토지에 대한 수치지적에 의한 정비, 전국적인 규모의 지적재조사의 필요성 대두, 95 년에 범정부적으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구축에 따른 지적기사 자격취득자에 대한 인력수요는 증가할 전망이다.또한 지적업무 내용의 다양화·고도화에 따라 컴퓨터기술 등 첨단기술의 습득은 물론 각종 지리조사에 관한 지식과 법률 및 경제에 대한 지식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한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시험과목 - 필기1. 지적측량2. 응용측량3. 토지정보체계론4. 지적학5. 지적관계법규- 실기 : 기초측량 및 세부측량③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3시간) + 작업형(1시간30분 정도)]④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지적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2,177명
필기응시
1,359명
필기합격
560명
합격률
41.2%
실기접수
998명
실기응시
825명
실기합격
403명
합격률
48.8%
2023년 지적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2,700명
필기응시
1,661명
필기합격
718명
합격률
43.2%
실기접수
1,300명
실기응시
1,133명
실기합격
487명
합격률
43.0%
2022년 지적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2,464명
필기응시
1,677명
필기합격
837명
합격률
49.9%
실기접수
1,557명
실기응시
1,371명
실기합격
608명
합격률
44.3%
2021년 지적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2,654명
필기응시
1,804명
필기합격
852명
합격률
47.2%
실기접수
1,304명
실기응시
1,147명
실기합격
525명
합격률
45.8%
2020년 지적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2,375명
필기응시
1,777명
필기합격
910명
합격률
51.2%
실기접수
1,494명
실기응시
1,320명
실기합격
624명
합격률
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