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계기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사
comment
주로 금속재료의 특성, 설계, 가공방식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농업기계를 설계하고, 기계부품, 공구, 기계를 제작하는 업무수행. 또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각종 농업기계 의 안전사용을 위한 교육 등을 실시.
노동력중심의 농업에서 기계중심의 농업으로 전환되면서 농업생산비 절감 등 농업경영개 선을 위해 경운기, 이앙기, 콤바인, 곡물건조기, 바인더, 관리기, 트랙터 등 다양한 농업기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이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농업기계를 설 계, 제작하기 위한 전문 기술인력이 요구됨.
- 수행직무
주로 금속재료의 특성, 설계, 가공방식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농업기계를 설계하고, 기계부품, 공구, 기계를 제작하는 업무수행.또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각종 농업기계 의 안전사용을 위한 교육 등을 실시.
- 진로 및 전망
- 농업기계생산업체, 농업기계수리업체, 농업기계화 정책을 추진하는 국공립기관의 공 무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농업부문 취업자수 추이를 보면 1998년 경기하락에 따른 역이농현상에 따라 일시적 으로 증가세를 보인 것을 제외하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이런 원인 중의 하나 는 기계화에 따른 노동력절감도 한 몫을 차지한다.참고로 1998년말 현재 농기계화율 은 건조작업을 제외한 모든 작업분야에서 95%이상의 높은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농 림부 농업정보통계관실, '98 농기계이용수지 및 농업기계화율 조사결과', 1999 참 조).현대 농업은 이처럼 경운기, 이앙기, 콤바인, 곡물건조기, 바인더, 관리기, 트랙터 등 다양한 농업기계가 많이 사용되어 기계 중심으로 바뀌어가고 있다.1990년 대 중반 이후 국내 농업기계 생산이 점차 줄어들고 있긴하지만, 국제화, 개방화 속 에서 농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을 통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농업기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따라서 농업기계의 설계, 개발능력을 갖춘 전문 기술인력에 대한 수요가 꾸준할 전망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농업기계공학, 농업공학, 기계공학, 기계설계공학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필기1. 재료역학2. 기계열역학3. 기계유체역학4. 농업동력학5. 농업기계학- 실기 : 농업기계설계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2시간) + 작업형(4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으로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농업기계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0명
- 필기응시
- 0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2명
- 실기응시
- 2명
- 실기합격
- 2명
- 합격률
- 100.0%
2023년 농업기계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57명
- 필기응시
- 30명
- 필기합격
- 6명
- 합격률
- 20.0%
- 실기접수
- 5명
- 실기응시
- 4명
- 실기합격
- 2명
- 합격률
- 50.0%
2022년 농업기계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0명
- 필기응시
- 0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1명
- 실기응시
- 0명
- 실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2021년 농업기계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44명
- 필기응시
- 30명
- 필기합격
- 7명
- 합격률
- 23.3%
- 실기접수
- 3명
- 실기응시
- 3명
- 실기합격
- 2명
- 합격률
- 66.7%
2020년 농업기계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41명
- 필기응시
- 26명
- 필기합격
- 4명
- 합격률
- 15.4%
- 실기접수
- 2명
- 실기응시
- 2명
- 실기합격
- 1명
- 합격률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