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라믹기술사
국가기술자격 | 재료 | 기술사
comment
세라믹 전반에 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소재나 제품, 기술 을 개발하고 세라믹의 원료에서 제작, 응용에 이르기까지 전공정을 지도·감독. 또는 세라믹소재에 대한 기술자문 담당.
세라믹은 일반적으로 금속재료나 유기재료에 비해 내식성, 내열성, 내마모성 등이 매우 크며 그 기능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이에 따라 미래 산업발전의 기반이 되는 세라 믹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신소재 및 기술을 개발할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 도 제정.
- 수행직무
세라믹 전반에 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소재나 제품, 기술 을 개발하고 세라믹의 원료에서 제작, 응용에 이르기까지 전공정을 지도·감독.또는 세라믹소재에 대한 기술자문 담당.
- 진로 및 전망
- 시멘트공업, 유리공업, 내호물공업, 도자기공업과 같은 전통세라믹 분야에서부터 전자 통신, 에너지산업, 자동차산업, 우주항공산업, 의료용세라믹 산업과 같은 첨단산업 에 이르기까지 세라믹을 만들거나 소재를 개발하는 기업체에 종사하면서 신소재 개 발 및 재료분석을 담당할 수 있다.또한 정부출연연구소, 기업부설연구소에서 연구 원으로 종사하기도 한다.- 세라믹은 정보화, 전자화, 환경친화의 시대에 있어 중요한 재료로 인간생활에 필요 한 기계, 건조물, 생활용품 등 그 종류가 많고 성질이 다양하여 일상생활용품, 고온 재료, 원자력산업, 우주개발, 해양개발 등 첨단기술분야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 아져 가고 있다.특히 신소재 산업에서 차지하는 첨단 세라믹스의 비중을 고려할 때 신소재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세라믹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 지식과 실무경험을 갖춘 전문가의 역할 역시 커질 전망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요업공학, 재료공학, 화학공학, 고분자공학, 공업화학, 무기재료공학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세라믹원료, 세라막제조공정, 제품의 특성, 세라믹공장설계, 제조장치, 공장품질관리에 관한 사항④ 검정방법-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면접 : 구술형 면접(30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면접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세라믹기술사 합격률
- 필기접수
- 4명
- 필기응시
- 4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2명
- 실기응시
- 2명
- 실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2023년 세라믹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7명
- 필기응시
- 7명
- 필기합격
- 3명
- 합격률
- 42.9%
- 실기접수
- 5명
- 실기응시
- 5명
- 실기합격
- 2명
- 합격률
- 40.0%
2022년 세라믹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3명
- 필기응시
- 3명
- 필기합격
- 2명
- 합격률
- 66.7%
- 실기접수
- 3명
- 실기응시
- 3명
- 실기합격
- 1명
- 합격률
- 33.3%
2021년 세라믹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8명
- 필기응시
- 8명
- 필기합격
- 6명
- 합격률
- 75.0%
- 실기접수
- 6명
- 실기응시
- 6명
- 실기합격
- 5명
- 합격률
- 83.3%
2020년 세라믹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3명
- 필기응시
- 2명
- 필기합격
- 1명
- 합격률
- 50.0%
- 실기접수
- 1명
- 실기응시
- 1명
- 실기합격
- 1명
- 합격률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