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관리기술사
국가기술자격 | 경영.회계.사무 | 기술사
comment
품질관리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 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오늘날과 같은 무한 경쟁시대에는 품질관리를 통한 생산성 향성과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이에 따라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효율적이고 과학적 인 품질관리를 위해 전문지식과 풍부한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력양성이 요구되어 자 격 제도 제정.
- 수행직무
품질관리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 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기업체의 품질관리부서, 제조업체의 생산부서, 연구소의 연구개발부서, 사업 및 경영 컨설팅 업체, 공공관리직, 학계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경제·사회발전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가 가격중심에서 고품질, 다양한 디자인, 충실한 A/S 및 안전성 등으로 변화하고 있다.이에 따라 기업의 경쟁력 창출요인도 변화하고 있으며 기업경영의 근본요소로 품질경영체제의 적극적인 도입과 확산이 요구되고 있 다.특히 품질은 생산성 및 기업의 이윤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선진국 에 비해 기술력수준이나 기술개발 투자의 절대규모가 적은 우리나라로서는 품질향상 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최우선과제 이다.이와 더불어 KS, ISO8998, EQ 등 법적규제 의 강화에 의해 해당분야 전문기술인력에 댜헌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또한 기술사와 같은 전문기술인력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서비스업, 기술시험, 검사 및 분석관련 업무 등으로 진출하는 데도 매우 유리할 전망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 02-3271-9190~1)② 관련학과 : 대학의 공학계열 학과③ 시험과목- 필기 : 품질계획 및 설계, 품질관리조작, 통계적 품질관리, 품질원가 관리 및 산업 표준화, 기타 품질관리에 관한 사항.④ 검정방법-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 (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면접 : 구술형 면접(30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품질관리기술사 합격률
- 필기접수
- 211명
- 필기응시
- 178명
- 필기합격
- 38명
- 합격률
- 21.3%
- 실기접수
- 77명
- 실기응시
- 77명
- 실기합격
- 29명
- 합격률
- 37.7%
2023년 품질관리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88명
- 필기응시
- 147명
- 필기합격
- 38명
- 합격률
- 25.9%
- 실기접수
- 96명
- 실기응시
- 96명
- 실기합격
- 42명
- 합격률
- 43.8%
2022년 품질관리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47명
- 필기응시
- 130명
- 필기합격
- 36명
- 합격률
- 27.7%
- 실기접수
- 95명
- 실기응시
- 94명
- 실기합격
- 40명
- 합격률
- 42.6%
2021년 품질관리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83명
- 필기응시
- 155명
- 필기합격
- 73명
- 합격률
- 47.1%
- 실기접수
- 100명
- 실기응시
- 97명
- 실기합격
- 39명
- 합격률
- 40.2%
2020년 품질관리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63명
- 필기응시
- 147명
- 필기합격
- 8명
- 합격률
- 5.4%
- 실기접수
- 33명
- 실기응시
- 32명
- 실기합격
- 19명
- 합격률
- 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