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건축품질시험기술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술사

comment

건축품질시험 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계, 분 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건축의 계획 및 설계에서 시공, 관리에 이르는 전과정에 관한 공학적 지식과 기술, 그리 고 풍부한 실무경험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건축품질시험 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계, 분 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일반건설회사와 전문건설회사, 감리전문회사의 취업할 수 있으며, 그밖에 주택건설회 사, 건축설계회사, 엔지니어링회사, 기술사사무소, 안전진단전문기관, 건설품질검사 전문기관, 측량회사, 우지관리회사, 건설교육기관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부실공사 및 건설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안전관리뿐만 아니라 건설과정 에서의 체계적인 관리와 개선이 필요하다.특히 건설공사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건축 품질시험기술사의 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1999년 11월 현재 건설교통부 품질검 사전문기관의 등록현황을 보면 서울지방국토관리청 등 50개 국·공립시험기관과 한국 건설시험연구원 등 47개 등록기관을 합하여 총 95개 품질전문검사기관이 등록되어 있 으나 건축분야의 경우 민간 및 정부투자기관(국·공립시험기간 제외) 8개소와 종합 분야13개소를 합하여 총 21개 기관에 불과해 향후 정부의 부동산 경기 활성화정책에 따른 건축경기의 회복추세에 비하여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또한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제49조)」에 종합분야에 토목·건축품질시험기술사 등 7인, 건축분야에 건축 품질시험기술사 등 3인이 품질검사전문기관의 분야별 등록기준으로 명시되어 있는 등 증가요인으로 토목품질시험기술사의 인력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건축공학, 전기공학, 건축재료공학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건축재료의 특성, 용도, 시험, 검수관리 및 재료역학에 관한 사항과 기타 품질관리에 관한 사항④ 검정방법-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매교시당 100분, 총400분)- 면접 : 구술형 면접시험(30분 정도)⑤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건축품질시험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56명
필기응시
45명
필기합격
10명
합격률
22.2%
실기접수
10명
실기응시
10명
실기합격
9명
합격률
90.0%
2023년 건축품질시험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63명
필기응시
55명
필기합격
2명
합격률
3.6%
실기접수
4명
실기응시
4명
실기합격
4명
합격률
100.0%
2022년 건축품질시험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64명
필기응시
50명
필기합격
4명
합격률
8.0%
실기접수
7명
실기응시
7명
실기합격
4명
합격률
57.1%
2021년 건축품질시험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73명
필기응시
60명
필기합격
5명
합격률
8.3%
실기접수
7명
실기응시
7명
실기합격
4명
합격률
57.1%
2020년 건축품질시험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55명
필기응시
49명
필기합격
7명
합격률
14.3%
실기접수
7명
실기응시
7명
실기합격
5명
합격률
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