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차량기술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술사
comment
철도차량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 및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철도 혹은 고속전철차량을 제 조하기 위한 구조, 배관, 의장, 대차, 전장 등의 기본 및 생산도면을 설계하며, 전력공 급설비, 진단설비, 수배전설비, 제어설비 등을 연구, 개발, 운용과 평가업무를 수행하 고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
지하철, 도시철도, 경전철 및 고속척도 등이 지속적으로 건설되면서 철도분야의 수송수 요는 급증하고 있지만 철도관련 기술 및 전문인력을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 다.이에 따라 철도차량에 관한 기계공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공정, 기계 및 기술과 관 련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고도의 전문지식과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갖춘 기술인 배 출을 위해 자격을 제정.
- 수행직무
철도차량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 및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철도 혹은 고속전철차량을 제 조하기 위한 구조, 배관, 의장, 대차, 전장 등의 기본 및 생산도면을 설계하며, 전력공 급설비, 진단설비, 수배전설비, 제어설비 등을 연구, 개발, 운용과 평가업무를 수행하 고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 주로 철도청, 지하철공사, 도시철도공사 등으로 진출할 것으로 보이며, 철도차량생산 업체, 전동차생산업체 등으로의 진출도 예상된다.이외 연구기관이나 학계로의 진출 도 이루어질 전망이다.- 대중교통개선을 위한 정부정책에 따라 고속철도건설, 철도복선화사업, 대도시내의 전 동차 노선의 증설이 예상되고 있다.또한 점차 지방도시에서의 지하철 개통도 진행 될 것으로 보인다.이에 따라 기대되는 사업량 증가는 철도차량 및 지하철 전동차량 의 설계, 제작, 기술자문, 지도업무를 수행할 기술분야의 최고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 를 증가시킬 것이다.특히 철도차량기술은 선진국에서 이미 개발된 기술을 이전받 는 데에도 막대한 기술료를 지급해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핵심적인 설계와 시 스템의 통합 및 연계기술의 제공은 회피하는 추세이다.이때문에 우리의 기술로 세 계적인 수준의 차세대 고속전철시스템개발 등 신기술개발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전문 기술인력이 필요할 것이다.장기적으로는 자기부상열차와 같은 신 교통수단의 등장 통일시대의 대비 또는 대륙 철도망과의 연계를 위해서도 철도기술은 매우 중요할 전 망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기계공학, 기계설계공학, 동력기계공학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시스템으로서의 철도, 철도차량과 디젤동력차량, 전기동력차량, 객·화차, 고속전철 및 자기부상열차 등 여러가지 형태의 철도차량 설계, 운용 및 유 지보수에 관한 사항④ 검정방법-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면접 : 구술형 면접(30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철도차량기술사 합격률
- 필기접수
- 70명
- 필기응시
- 60명
- 필기합격
- 6명
- 합격률
- 10.0%
- 실기접수
- 12명
- 실기응시
- 12명
- 실기합격
- 7명
- 합격률
- 58.3%
2023년 철도차량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68명
- 필기응시
- 56명
- 필기합격
- 15명
- 합격률
- 26.8%
- 실기접수
- 23명
- 실기응시
- 23명
- 실기합격
- 14명
- 합격률
- 60.9%
2022년 철도차량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34명
- 필기응시
- 28명
- 필기합격
- 8명
- 합격률
- 28.6%
- 실기접수
- 9명
- 실기응시
- 9명
- 실기합격
- 6명
- 합격률
- 66.7%
2021년 철도차량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49명
- 필기응시
- 36명
- 필기합격
- 2명
- 합격률
- 5.6%
- 실기접수
- 5명
- 실기응시
- 5명
- 실기합격
- 5명
- 합격률
- 100.0%
2020년 철도차량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33명
- 필기응시
- 29명
- 필기합격
- 6명
- 합격률
- 20.7%
- 실기접수
- 22명
- 실기응시
- 22명
- 실기합격
- 10명
- 합격률
- 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