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술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술사
comment
공조냉동기계(공기조화 및 냉동장치) 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 한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 의 기술업무 수행.
공조냉동기술은 인간의 편리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위해 필수적 기술로서 단독으로 혹 은 다른 기술과 병합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그 활 용범위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이처럼 공조냉동기술의 중요성이 더해짐에 따라 공조 냉동분야 공학이론을 바탕으로 공정, 기계 및 기술과 관련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지식과 실무경력을 겸비한 풍부한 기술인 양성이 필요하게 됨.
- 수행직무
공조냉동기계(공기조화 및 냉동장치) 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 한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 의 기술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주로 건설업체, 감리전문업체, 엔지니어링업체로 진출하거나 기술사사무소를 개업하 는경우가 많다.냉동고압가스 및 냉난방·냉동장치 제조업체의 연구개발분야로도 진 출하며, 일부는 학계나 정부기관, 연구소 등으로 진출한다.「에너지이용합리화법」 에 의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기술인력, 「 전기사업법」에 의한 기계안전관리사,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 등으로 고용될 수 있다.「건축 법」에 의해 일정 규모 이상 또는 에너지 대량소비 건축물에 급수·배수·냉방·난방 및 환기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해당 자격자의 협력을 받도록 할 수 있다.- 공조냉동기술은 제빙, 식품저장 및 가공분야에서 발달하기 시작하여 경공업, 중화학 공업 뿐만 아니라 의학, 축산업, 원자력공업 및 대형건물의 냉난방시설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특히 생활수준 향상으로 냉난방 설비수요가 꾸준 히 증가하고 있다.이 때문에 해당분야에서 연구, 설계, 지도, 감독 등 주도적 역 할을 수행할 전문기술인력이 더욱 중요해 질 전망이다.뿐만 아니라 과학기술과 전 문기술에 근거하여 설비 혹은 제조·설치에 있어 기획, 타당성조사, 설계, 분석, 구 매조달, 검사, 감리, 시운전, 유지보수, 사업관리에 관련된 지적서비스를 제공하 는 엔지니어링산업 분야의 진출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공조냉동기술의 중요성 과 더불어 해당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은 자격응시인원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냉동공조공학, 기계공학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냉난방장치, 냉동기, 공기조화장치 및 기타 냉난방 및 냉동기계에 관한 사항④ 검정방법-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 (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면접 : 구술형 면접(30분 정도)⑤ 합격기준 - 필기 ·면접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공조냉동기계기술사 합격률
- 필기접수
- 514명
- 필기응시
- 437명
- 필기합격
- 16명
- 합격률
- 3.7%
- 실기접수
- 38명
- 실기응시
- 38명
- 실기합격
- 12명
- 합격률
- 31.6%
2023년 공조냉동기계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468명
- 필기응시
- 399명
- 필기합격
- 17명
- 합격률
- 4.3%
- 실기접수
- 36명
- 실기응시
- 36명
- 실기합격
- 15명
- 합격률
- 41.7%
2022년 공조냉동기계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327명
- 필기응시
- 265명
- 필기합격
- 31명
- 합격률
- 11.7%
- 실기접수
- 65명
- 실기응시
- 65명
- 실기합격
- 34명
- 합격률
- 52.3%
2021년 공조냉동기계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375명
- 필기응시
- 315명
- 필기합격
- 34명
- 합격률
- 10.8%
- 실기접수
- 64명
- 실기응시
- 64명
- 실기합격
- 25명
- 합격률
- 39.1%
2020년 공조냉동기계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356명
- 필기응시
- 295명
- 필기합격
- 13명
- 합격률
- 4.4%
- 실기접수
- 37명
- 실기응시
- 36명
- 실기합격
- 16명
- 합격률
- 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