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술사
국가기술자격 | 재료 | 기술사
comment
용접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부품의 설계 및 제조과정에서 용접공정에 대한 신기술을 계획, 연구, 설계, 분석하고, 금속 및 비금속의 특성에 따 른 접합기술을 개발, 시험, 운영, 평가하며,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 수 행.
용접은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및 건설 등의 산업에서 제품이나 설비의 제조, 조립, 설치, 보수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이에 용접기술에 관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공정, 기계 및 기술과 관련된 직무를 수행할 전문적인 지식 과 풍부한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 배출을 위해 자격을 제정.
- 수행직무
용접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부품의 설계 및 제조과정에서 용접공정에 대한 신기술을 계획, 연구, 설계, 분석하고, 금속 및 비금속의 특성에 따 른 접합기술을 개발, 시험, 운영, 평가하며, 이에 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 수 행.
- 진로 및 전망
-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건설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진출하고 있으며, 이외에 도 행정분야, 학계, 연구소 등으로도 진출할 수 있다.「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특급감리원이나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철도·궤도공사업, 가스 시설공사업의 기술인력으로 고용될 수 있다.- 용접의 활용범위와 소재가 날로 광범위해지고 자동화, 로봇화되면서 용접의 고강도 화, 고탄성화, 고정밀화, 용접변형의 극소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극한 환경아래에 서도 용접이 가능한 무인화가 추진되고 있다.이에 따라 향후 신소재에 대한 용접기 술 및 차세대 신용접, 접합기법의 개발이 요구되기 때문에 용접분야 기술인력에 대 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최근 5년간 자격응시인원에서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기계공학, 금속공학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필기 : 용접법, 용접야금, 용접재료, 용접구조설계, 용접시공관리, 용접관련장치, 안전위생, 용접부검사, 용접에 관한 법규 및 규격, 기계공작법 및 생산관리 에 관한 사항④ 검정방법-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현 (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면접 : 구술형 면접(30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면접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용접기술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24명
- 필기응시
- 94명
- 필기합격
- 21명
- 합격률
- 22.3%
- 실기접수
- 32명
- 실기응시
- 32명
- 실기합격
- 13명
- 합격률
- 40.6%
2023년 용접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18명
- 필기응시
- 89명
- 필기합격
- 11명
- 합격률
- 12.4%
- 실기접수
- 18명
- 실기응시
- 18명
- 실기합격
- 6명
- 합격률
- 33.3%
2022년 용접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10명
- 필기응시
- 86명
- 필기합격
- 3명
- 합격률
- 3.5%
- 실기접수
- 21명
- 실기응시
- 21명
- 실기합격
- 11명
- 합격률
- 52.4%
2021년 용접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58명
- 필기응시
- 139명
- 필기합격
- 19명
- 합격률
- 13.7%
- 실기접수
- 25명
- 실기응시
- 25명
- 실기합격
- 11명
- 합격률
- 44.0%
2020년 용접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29명
- 필기응시
- 107명
- 필기합격
- 16명
- 합격률
- 15.0%
- 실기접수
- 25명
- 실기응시
- 25명
- 실기합격
- 13명
- 합격률
- 52.0%